블로그 이미지
인터넷 해외선교를 기본으로 하는 개인적 내용과 학점은행제 관련한 것을 한꺼번에 남겨볼께요. 항상 행.복.하시길~ 주문처럼 외우는 엠토리가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엠토리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지난번에 이어서 리눅스 초보가 남깁니다 ^^

2일차까지 수업을 통해 실제 CentOS 4.5 를 VMware 안에 설치하였습니다.
이제는 이 설치된 리눅스를 가지고 앞으로 수업을 진행을 한다고 하니, 저 또한 수업 내용을 정리하면서 계속 포스팅하겠습니다.

리눅스는 로그인을 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때 로그인을 위해 필요한 것이 계정인데요.
이 계정은 아이디와 비번을 말합니다.(너무나 당연한 것을 왜 쓰는 지 아시는 분? ^^? 이것을 분실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 리눅스 명령어를 입력해서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이라고 합니다.(MS-DOS 창과 유사)

계정 종류
 - 슈퍼유저(Super User) : 루트(root)를 의미, 리눅스의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관리자 계정 터미널을 실행하면 # 으로 나타난다.
 - 일반유저 : 루트를 제외한 사용자 모두. 일반적인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나, 네트워크 설정, 하드디스크 작업 등 시스템 작업은 할 수 없다.  터미널 실행하면 $ 로 나타난다.
 - 일반 계정에서 루트로 전환 : su 명령 이용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기능 개요

참고 : 리눅스 자격증


리눅스도 윈도우 처럼 마우스를 통해 여러가지 명령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파일브라우저(=윈도우 탐색기) : 메뉴표시줄 - 프로그램 - 파일브라우저
-  바탕화면 변경 : 메뉴표시줄 - 프로그램 - 환경설정 - 데스크탑 바탕
- 루트 암호 변경하기 : 메뉴표시줄 - 프로그램 - 시스템 설정 - 루트 암호

리눅스 명령어(Command) 형식

기본형식 :  #명령어 [옵션] [인자값]
[] 부분은 생략 가능하며 명령어와 옵션 인자값 구분은 스페이스바(공백) 로 구분을 해 주어야 한다. 명령어나 옵션 다음에 적는 단어를 argument, 인자값, 인수 라고 부른다. 옵션은 보통 - 를 지정하고 생략 가능한 경우도 있다.

실행 종류
 - 명령어 사용하는 경우  예) #ls
 - 명령어 옵션 사용하는 경우, 여러번 사용 가능  예) #ls -l      #ls -a -l     #ls -al     # ls -la
 - 명령어 옵션 인자값 사용하는 경우, 옵션과 달리 인자값의 경우 순서를 지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 #ls -l /tmp
 - 한 줄에 여러 명령어 를 사용하는 경우  예) #ls ; date

사용법 및 옵션은 man 또는 --help 사용해서 확인 가능하다.
man 명령어 : 매뉴얼(설명서) 페이지 확인, 명령어의 --help 옵션과 유사

형식
#man  옵션  리눅스명령어
#명령어  --help
예)
#man  ls
q : 매뉴얼 종료
#man  -K  calendar    ---> 달력과 관련된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
-K(대문자) : 키워드 지정 옵션
#ls  --help

터미널 실행하기
#man  ls
---> 터미널에서 man ls 를 입력후 엔터누르기(#은 입력하는 것이 아님)
---> ls 명령어에 대한 매뉴얼이 출력된다.
     ls 는 파일이나 디렉토리 목록 확인 명령, 리눅스의 명령어는 .exe .com 등 확장자로 구분하지 않는다.

스페이스바 : next page
f(또는 ctrl + f) : next page
b(또는 ctrl + b) : previous page
엔터 : next line
PageUp, PageDown, 화살표 키를 이용할 수 도 있다.
h : 매뉴얼 도움말(help) 출력(도움말 종료는 q)
-N 입력후 엔터 : 라인번호 출력
-n 입력후 엔터 : 라인번호 해제
100G : 100 번 라인이 있는 페이지로 이동(G 는 Go 를 의미)
q : 매뉴얼 종료(quit)

#ls  --help
페이지 이동은 shift + page up, shift + page down (또는 마우스로 스크롤바 이동)

whereis 명령어 : 실행파일 위치, 매뉴얼 파일 위치 출력
passwd : 암호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

#man  passwd
--->1번 설명서(명령어) 확인
기본적으로 작은 번호의 설명서가 먼저 출력된다.
PASSWD(1)                       User utilities                       PASSWD(1)

NAME
       passwd - update a user’s authentication tokens(s)

#man  5  passwd
---> 5번 설명서(설정파일) 확인

참고 : 메뉴얼의 종류(Section)

passwd 명령어
루트 사용자는 일반 계정의 암호를 변경할 때 이전 암호를 묻지 않는다. 일반 계정의 자신의 암호를 바꿀 때 이전 암호를 물어본다.

루트       : 모든 사용자의 암호 변경 가능
일반 계정 : 자신의 암호만 변경 가능

#passwd  또는 #passwd  root
---> 현재 계정인 루트 계정의 암호 변경

#passwd  fedora
---> fedora  계정의 암호 변경

유동아이피 설정
 - 편지를 보낼 때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주소가 필요한 것처럼 컴퓨터끼리 데이타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아이피 주소(IP Address)가 필요하다. 아이피 주소는 유동아이피,고정아이피,공인아이피,사설아이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유동아이피(DHCP) : 리부팅하면 변경될 수 있는 아이피 // DHCP-Dynamic Host Configuraton Protocl
2.고정아이피(Static IP) : 리부팅해도 변경되지 않는 아이피

유동아이피 설정 관련 명령어 : netconfig, service, ifconfig, ping

터미널 실행하기
#netconfig
---> netconfig :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
---> 터미널에서 netconfig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은 입력하는 것이 아니다.)
---> Cent 5 에서는 netconfig 명령이 없어졌으므로 system-config-network-tui 를 이용하면 된다.

네트워크 설정 질문 : "예" 에 커서 위치시키고 엔터입력

[*] 동적 IP 주소 자동설정 사용(BOOTP/DHCP)
---> 스페이스 바 이용하여 체크하기, 탭키 눌러서 커서를 "확인"으로 보낸 후 엔터 입력
(netconfig 로 설정하면 바로 적용되지 않고 리부팅 하거나 서비스를 재시작 해 주어야 반영된다.)

#service  network  restart
service : 서비스 구동 명령어
network : 서비스 종류
restart : 재시작(stop 과 start 를 한꺼번에 해 준다.)

#ifconfig(윈도우 도스창에서는 ipconfig 사용)
ifconfig : 아이피 확인 명령어
eth0 : 첫번째 랜카드(두번째 랜카드는 eth1 이 된다.)
lo   : 컴퓨터 자신을 테스트 할 때 사용되는 가상 인터페이스

#ping  -c3  168.126.63.1
ping : 네트워크 점검 명령어
-c3 : 패킷 갯수 제한 옵션(count, 데이타를 3개 보내는 옵션)
168.126.63.1 : 한국통신 네임서버 아이피

64 bytes 로 출력 되어야 정상

[리눅스 가상머신]-----------------<가상 네트워크>--------------------[인터넷]

리눅스 웹브라우저 실행해서 인터넷 테스트
메뉴표시줄-"명령" 메뉴 오른쪽 지구 아이콘 클릭 

putty 사용하기
윈도우에서 리눅스 서버로 로그인 할 수 있는 원격(Remote) 터미널 프로그램

Host Name : 192.168.x.x (리눅스 아이피를 적는다.)
Port : 22
Protocol : SSH 선택
Saved Sessions : LINUX1PM730
save 버튼 누르기
open 버튼 누르기
Security alert 메시지창 나오면 "예" 버튼을 누른다.
처음 접속할 때만 메시지창이 나오므로 이전에 사용했으면 alert 메시지가 안 나올 수 도 있다.

login as: root
root@192.168.x.x's password: 루트 암호 입력하기 (입력할 때 암호는 안 보인다.)
Last login: Sat Jan 10 04:53:21 2009
[root@cent ~]#

---> putty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리눅스 서버에 로그인한 후 작업을 할 수 있다.

참고 : putty 설정 변경하기


이상 3일차 수업에 대한 내용 모두를 남깁니다. 생각보다 많네요 ^^;
다만 이는 수업을 들으면서 있던 내용인 만큼 실제로 따라하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차근차근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항상 행.복.하시길~^^

- 이전 관련 포스팅 링크 -
2011/02/12 - [◇ Tip & Info ◇] - 엠토리, 리눅스 세상 접속 - 1st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