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미디어 해외 선교에 참석하게 되어 그에 대해 준비하는 내용의 짧은 기록과 중보 기도를 요청드리고자 진짜 간만에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특히나 지난 2012년에 갔던 곳이라 감회가 새롭네요. ( 이전 포스팅 참고 : 2012 미디어 해외 선교 - 미얀마 포스팅 )
1. MMS(미디어 선교 학교) 개요 - 주관: 영락교회 선교부 미디어선교팀 - 일시: 2025년 4월 1일(화) ~ 4월 6일(주일) - 장소: 미얀마 양곤 ( 참고 : 다음백과 양곤 ) - 팀원: 전도사님 외 5명 - 교육 내용: Canva 활용 저작물 제작, Filmora를 통한 영상제작 실습, 신축 교회의 미디어 기자재 설치와 세팅 및 사용법 교육 - 비용 : 항공료 및 체류 경비(숙박-식사 등) 일체 자비량
2025 MMS - 제21회 미디어선교학교 포스터 일부
2. 미얀마 관련 간략 정보 - 시차: 2시간 30분 - 환율: 약 1,000원 = 3,000짯. 예를 들어, 김치찌개 가격은 12,000~18,000짯입니다. - 비자 발급: eVisa 신청 가능, 비용은 50달러. 준비물은 사진, 여권 사본, 호텔 예약증. ( 신청 링크 ) - 기타: 전화 로밍 불가하며, 구김 없는 100달러 지폐만 환전 가능 - 지진: 3/28 미얀마 만달레이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 ( 참고 : 다음 검색 )
양곤 날씨예보
3. 출입국 일정과 항공편 - 출국 일시: 2025년 4월 1일(화) 16시 05분, 인천국제공항 출발( T1 ) - 귀국 일시: 2025년 4월 6일(일) 06시 50분 (현지시간), 양곤국제공항 출발 - 항공편 : 미얀마 항공, 약 6시간 비행
4. 준비 내용 - 줌과 대면, 카톡을 통해서 진행 내용을 공유 - 필요 물품에 대해 구입해서 분배
개인 물품이 아닌 그곳에서 사용 예정인 물품들
5. 중보기도 요청 1) 미얀마: - 선교 사역을 감당하는 선교사님과 그 가정, 그리고 사역을 위해 - 최근 발생한 지진과 오랜 내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
2) MMS: - 모든 사역과 일정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준비, 출입국, 이동, 사역 및 교육, 숙식 등) - 모든 참여자들이 지치지 않고 영육 간에 강건할 수 있도록 - 참여자와 그 가족, 이를 위해 기도 하는 모든 분들이 평안할 수 있도록
3) 개인 기도: - 안전과 건강을 지켜주시고, 지혜롭게 사역 지원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 남아 있는 가족 모두가 주님의 평안을 느끼고 기도할 수 있도록
항.상. 행복하시길~! 😊
이 글은 저의 미얀마 미디어 해외 선교 준비 과정을 기록하고 중보 기도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기억해주시고 기도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번 상해에서의 내용은 저로써는 처음이지만 수시로 진행하는 내용으로 너무도 좋아하는 형태라서 ^^ 간략하게라도 남겨둡니다.
0. 우선 개요부터 - 일정 : 12월 26일 아침 ~ 12월 28일 저녁, 2박 3일간 - 참여 : 전문가 2명과 보조 일꾼 엠토리, 3명 - 장소 : 상해의 왕선생님 사무실 - 목적 : 작은 공간의 영상 및 음향 중계시설 설치
1. 전날 저녁 아내와 6개월을 갓 지난 아들을 처가에 데려다 주고와서 혼자 짐을 꾸렸습니다. 아쉬움과 미안함도 있었지만 설렘도 있었습니다.
2. 새벽 5시 조금 넘어서 기상해서 꾸린 짐을 들고 출발해서 공항철도를 이용, 인천공항에 갔는데, 중국으로 들어가는 사람이 왜이리 많은지.. 어쨌든 멤버들과 만나서 아시아나 항공 수속을 진행했는데, 셀프티켓팅을 도우미 도움으로 해결하고서 바로 출국 수속을~
3. 간만에 출국하는 거라 전자 입출입등록이 개인적으로 안되어있어서 살짝 들려서 지문과 사진으로 인식시키고 여권에 도장을 받았습니다.
4. 인천공항을 출발해서 상해에 도착했습니다. 알고보니 상해는 국제공항이 두개더군요. 우리나라 인천공항보다 훨씬 큰 푸동공항과 김포공항 정도의 규모인 홍차오 공항. 그런데 아침시간에 움직이는 것은 푸동공항이네요. 암튼 도착하고 짐을 찾고나와 마중나온 왕선생님을 만났습니다.
5. 숙소로 바로 가지 않고 사무실로 직행하려다가 배고파서 상해의 중심가(오각장?)에 있는 빌딩으로 가서 현지에서 유명한 생전(生煎, 셩지엔)을 후다닥 흡입했습니다. 상해에서 유명한 샤오롱바오라는 육즙있는 만두와 군만두의 바삭함이 같이 있는 만두인데요. 안에는 육즙이 있고, 만두의 아랫쪽은 바삭하게 익혀있는 특징이 있더군요. 6개가 들어있는 팩을 각자가 한팩씩 먹었습니다.
6. 배도 채웠겠다 사무실로 갔습니다. 아침일찍 출발하고 상해까지의 비행시간이 2시간 내외라 의외로 일찍 일정이 시작되어 사무실을 도착했는데도 한낮이네요 ㅎ. 아 아쉬운 것은.. 미세먼지로 인해 공기가 너무 안좋았다는 것, 해서 왕선생님이 마스크를 주셨는데.. 저는 안경을 쓰고 있어서리.. 암튼 사무실에 도착해서 현황 파악하고 나왔습니다.
7. 사무실을 나와 드디어 2박 3일을 보낼 우리의 숙소에 왔습니다. 짐을 간단히 풀고 바로 나오기는 했습니다만, 우리 숙소.. 생각보다 좋던데요 ^^
8. 실제 작업을 위해 필요한 케이블 자재를 구입하기 위해 전자부품상가(예전 청계천상가 분위기)로 가서 쇼핑을 했습니다. 어디라고 했는데 잘 모르겠어요.. 검색해보니 베이징루 일 듯 한데.. 암튼 메이드인 차이나의 위력일듯 한데 이것저것 예상보다 저렴하게 구입했습니다.
9. 배도 고프고 해서 오각장 거리로 다시 와서 나름 유명한 식당에서 현지 음식들을 다양하게 맛보았습니다. 워낙 발음등이 어려워서.. 그냥 가리지 않는 식성덕분에 맛나게 먹었습니다 ㅎ (해당 상호는 첨부 이미지의 냅킨으로 ㅋ)
10. 식사 후 숙소로 이동했구요. 아까 완성되어있는 기성품을 구입한 것이 아닌 케이블 따로, 커넥터 따로 구입한 것이라서 숙소로 갖고 온 뒤 밤늦게까지 일꾼들은 인두를 가지고 케이블을 만드는 작업을 했습니다. 사전 현황조사했던 사이즈에 맞춰서~ 저는 보조입니다~
11. 호텔 조식을 가볍게 하고서 본격적인 작업을 위해 간밤에 만들어 놓은 케이블을 가지고 사무실로 이동해서 장비(믹서, 콘트롤러, 분배기 등)를 설치완료하고 간단한 방송음향기술적 내용과 사용방법까지 교육했습니다.
12. 중간에 저는 부족한 물품들이 조금 있어서 다시 어제 방문했던 시장으로 선생님과 갔다왔고, 점심은 간단히 김밥과 오뎅국과 부자김치로~ ^^ 사모님이 만들어주셨는데 맛좋던데요 ㅎ
13. 저녁식사 전까지 1차 기본적인 작업과 교육을 마무리하고서 저녁을 거하게 먹기 위해 걸어나왔습니다. 근처의 호텔 식당에서 주문하고 생선 머리 요리까지 현지식으로 먹고 나왔지요~
15. 드디어 마지막날 일정이 호텔 조식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가볍게 사무실로 가서 미쳐 테스트 하지 못한 카메라 등을 연결해서 최종 확인함으로 사역의 목적은 달성 완료 했습니다.
16. 그리고서는 사역이 아닌 상해 관광을 저희끼리 진행했답니다 ㅎ 먼저 예원이라는 중국인이 중시하는 정원에 방문했습니다. 들어가는 입구 주위의 상권이 넓게, 아주 넓어서 예원의 스케일이 크다고 오해했었지요 ㅎ 실제로 정원으로 생각하면 큰 것이지만 궁 수준의 크기로 오해할 만큼은 아니었습니다. 나와서는 샤오롱빠오를 먹었습니다. 빨대를 통해 육즙을 먹을 수 있는 만두였지요.
17. 이후에는 지하철과 도보를 이용해서 상해임시정부 청사 유적지를 방문했습니다. 일제치하에도 주권을 위해 노력했던 한민족의 유적이지요. 크지는 않지만 크게 느껴졌던 공간, 그리고 선조들의 느낌을 느꼈던 시간을 보냈습니다.
18. 마지막으로 신천지라 불리는 유럽풍으로 식당가들이 모여있어 관광객들이 붐빈다는 거리를 방문해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아이쇼핑을 즐기는 이들이 아니기에 큰 감흥은 없었지만 후회하지는 않는 시간을 보냈답니다.
19. 드디어 귀국을 위해 사모님이 운전하는 차에 몸을 싣고서 상해의 홍차오 공항으로 왔고, 이곳에서 출국수속 후 실제 탑승까지 시간이 조금 있어서 작은 기념품 쇼핑을 하면서 상해와 작별을 준비했습니다.
20. 귀국할때는 인천공항이 아닌 김포공항을 통해 한국으로 돌아왔답니다. 늦은시간임에도 배웅나온 팀장님도 만났지요. 김포공항에서 일산의 처가로 버스를 통해 이동했고, 아내와 아이를 만나 집으로 귀가했습니다.
이렇게 모든 내용을 간단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 추신 ----
1. 개인적으로 선생님께 상하이를 방문하고있던 후배를 소개해서 연결시켜드렸습니다. 피아노 레슨과 반주가 가능하기에 서로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 개인적으로 휴대폰 데이타로밍을 해서 갔습니다. 그런데 사용량 초과로 인한 장애로 둘째날 오후에는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주의해야 할 듯 합니다. 무제한 요금제라 안심하고 사용했는데, 메뉴얼을 다운로드 하는 용량이 꽤 커서 문제가 있었지요. 통신사 로밍센터 측에서도 속도제한과 장애는 다른의미임을 인지해서인지 1일치 사용요금 감면을 조치해 주더군요.
3. 상해의 숙소에 도착해서 보니 제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잠금장치가 파손되어있었습니다. 언어도 안통하고 시간도 늦어서 우선 무시하고 있다고, 귀국하고서 아시아나측에 연락해서 사진과 수하물표를 스캔해서 보내주니 새 캐리어를 보내주더군요.
4. 개인적인 비전으로 품는 선교헬퍼 ㅎ 이를 위한 이런 일들이 너무도 큰 기회이고 감사할 뿐입니다.
직접적인 선교를 위해 수고하는 것은 너무도 귀하지만 그만큼 그렇게 선교를 하고 있는 이들을 지원하는 것도 귀하다는 것을 기억하며 작년말 진행했던 상해의 2박3일간의 일정을 다시 기억속으로 정리하면서 주저리주저리 이렇게 포스팅해봤습니다.
미디어 해외선교의 취지 1.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를 통한 선교의 활용성이 높아지는 시대에 선교의 효율성을 높이고 해외선교의 확산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2. 미디어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정보와 교류를 통하여 선교사와 선ㄴ교 지역의 내적 효율성일 높이도록 한다.
미디어 해외선교의 목적 1. 영락교회 파송 선교지역의 미디어 교육, 활용, 지원하여 선교의 효율성을 높인다. 2. 선교사 및 선교지의 미디어 자료 제작을 통하여 선교사와 교회와 소통 경로를 확대시켜 준다. 3. 선교지역의 선교사와 현지인 동역자들이 미디어를 통한 사역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지원한다. 4. 새로운 미디어가 선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모색하여 선교의 발전을 유도한다. 5. 미디어 해외선교를 통하여 선교지를 이해하고 선교의 사명을 높인다.
미디어 해외선교의 사역 1. 미디어 지원 – 영락교회 파송 선교지의 미디어 기자재 교체 및 설치를 지원한다. 2. 미디어 제작 – 선교지 및 선교사의 모든 사역을 정리하고 미디어로 제작한다.(문서, 사진 및 영상) 3. 미디어 교육 – 선교사님과 현지인 동역자들에게 미디어 교육을 실시한다. (소그룹) 4. 미디어 봉사 – 선교지 전도 및 미디어 사역 봉사 5. 뉴미디어 소개 – 새로운 미디어를 선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2012 미디어 해외선교 개요 1. 장소 : 미얀마 양곤 2. 일정 : 2012년 6월 4일(월) - 6월 8일(금) / 선발대 6월 1일 출국, 전체 귀국 시간 6월 9일 새벽 06시 3. 교역자 : 1명
4. 임원 : 1명 5. 참석인원 : 교역자 및 임원 포함 총 15명 - 명단은 생략 6. 교육대상 : 현지 선교사, 현지인 동역자 및 제자 7. 교육내용 : 컴퓨터 기초,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사진 촬영 및 편집, 파워포인트, 동영상 촬영 및 제작 8. 선교지 자료 정리 및 취재 : 선교 현장 촬영 및 인터뷰, 미디어 자료 제작 9. 기자재 지원 : 컴퓨터 및 주변기기
미디어 해외선교 워크샵 1. 기도팀 구성 2. 사역팀 구성 3. 교육팀 구성 4. 봉사팀 구성 5. 장비 점검 및 준비 6. 기도회 및 워크샵 일정- 정기모임(매주 목요일 19시) : 4월 19일 – 5월 31일, 총 7회- 교육준비 : 과목 선정 및 교재 준비, 기자재 준비- 행사준비 : 교육대상자 인원 점검 및 명찰 제작, 간식 및 음식 조달 준비
2012 미디어 해외선교 일정 1. 6월 1일 선발대 출발 : 인천 – 하노이(베트남) 2. 6월 2일 선발대 일정 진행 3. 6월 3일 선발대 일정 진행 : 하노이 – 양곤(미얀마) 4. 6월 4일 본대 출발 : 인천 10시 5분 – 양곤 18시 10분 도착(하노이 경유) 5. 6월 4일 ~ 8일 사역 진행 6. 6월 8일 귀국 1 : 양곤 19시 10분 – 하노이 21시 30분 7. 6월 9일 귀국 2 : 하노이 00시 10분 – 인천 05시 50분
교육 시간표 (A 파트 : 현지인, B 파트 : 선교사) 1. 6월 4일 – 선발대 진행A : 컴퓨터 기초 1H – 엑셀 기초 2H = 점심 = 파워포인트 기초 4HB : 교육없음 2. 6월 5일 – 개강예배A : 컴퓨터 기초 1H – 사진촬영 2H = 점심 = 사진 편집 4HB : 동영상 촬영 3. 6월 6일 – 종강예배A : 컴퓨터 기초 3H = 점심 = 파워포인트 2H - 과외B : 동영상 편집
확장자(Filename extension) : 데이터 파일의 종류를 쓰임새에 따라 나타내는 형식
파일 이름 및 확장자 규격은 도스 시절까지는 8바이트(Byte)+3바이트로 제한되어있었고, 띄어쓰기도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해서 8글자 이하의 파일명과 3글자 이하의 확장자명으로 표현되었고, 또한 한글 지원이 안되는 오류도 많았습니다.
윈도우 95에서부터 총 255바이트의 파일명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부 특수 기호를 제외한 공백과 한글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됨)
윈도우에서는 이 확장자에 따른 실행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고, 아이콘 설정을 확장자 또는 파일에 맞춰 수정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확장자는 윈두우 옵션으로 인해 보여지지 않는다. 보이게 되면 실수로 이 확장자를 변경하게 되어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호환성을 생각한다면 가급적 영문과 숫자로 조합된 파일 및 확장자 형태로 만드는 것이 오류 발생의 빈도를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확장자명 정리
1)멀티미디어 파일(음악 및 동영상)
AIF / AIFF / ASF / AU / AVI / CDA / KAR / M3U / MID / MOD / MP1 / MP2 / MP3 / RA / RAM / RMM / RM / WRK / WAV / MPG / MPEG / MOV / QT
AIF / AIFF 오디오 파일로 Audio Interchange File Format의 약자이다. WAV처첨 샘플링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다. 처음 애플컴퓨터에서 개발되어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사용되었으며, 실리콘그래픽스 시스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AIFF포맷은 8비트 스테레오, 모노로 저장되지만 압축되지 않아 파일 크기가 크다는 것이 단점이다. IEF라는 확장자로도 사용된다.
ASF Advanced Streaming Format의 약자로 1996년 인텔이 만든 차세대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이다. ASF는 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 파일 안에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URL,심지어는 실행 프로그램까지 들어 있다. ASF파일의 장점은 스트리밍. 즉,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이 가능하다. 고성능 전용선이 아니더라도 56K 모뎀 정도면 부드럽게 재생된다. 현재 1.0에 이어 2.0규격까지 만들어졌으며 MS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파일을 지원한다.
AU Audio의 약자로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AU파일은 자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파일로 사용되기도 한다.
AVI Audio video Interleave의 약자로 디지털 비디오 파일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파일포맷으로 윈도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초기에는 320X240의 해상도에 최대 30프레임까지 제한되어 있었지만, 요즘은 320X240이상의 해상도로도 동영상 캡처가 가능하다. AVI파일은 압축된 것이므로 압축을 해제할 코덱이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관련 프로그램은 인디오, 시네팩등 수십 가지에 이른다. 코덱이 동일하지 않으면 AVI파일은 재생되지 않는다.
CDA 오디오 트랙. 윈도 95부터는 오디오 CD의 트랙을 CDA라는 확장자로 구분한다. 오디오 트랙은 Winamp동의 사운드 플레이어에서 들을 수 있다
KAR 노래방 파일로 MID파일에 가사를 붙여 음악에 따라 가사가 스크롤되는 방식이다. 이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용 노래방 프로그램은 Easykar, Midi-Oke!, Winkaraoke player등이 있다.
M3U 오디오 압축 파일인 MPC의 목록 파일.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된 순서대로 MP3 파일을 재생할수 있다. M3U파일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메모장에서 재생하고 싶은 MP3파일 이름을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주의할 점은 파일 이름을 쉼표나 띄어쓰기로 나누지 말로 엔터로 분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MID Musical Instrument Idigtal Interface라는 디지털 뮤직 규격에 사용되는 음악 파일이다. MIDI는 신시사이저, 전자드럼, 전자키보드 등의 전자 악기 규격을 통일한 것으로 A라는 키보드에서 B라는 키보드의 음색을 연주할 수 있다. MIDI파일은 일종의 악보로 음색은 전문 MIDI음원을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한다. MID파일에는 음높이, 음길이, 세기 등 다양한 음악 기호가 정의되어 있다.
MOD Modules의 약자로 음원을 내장한 사운드 팡리이다. WAV나 AU등은 사운드 자체를 디지털화하는 방식이며, MID는 악보처럼 음악의 높낮이, 길이 등의 정보만 가지고 있다. 반면 MOD파일은 MID처럼 악보 정보와 함께 WAV같은 음원도 함께 내장한다.
예를 들어 피아노와 기타, 드럼을 함께 연주하는 음악이 있다면 MOD 파일내에는 악보와 함께 피아노 음색이 내장되어 있다. 이처럼 악보와 음원을 함께 가진 음악 파일을 모듈이라고 한다. 모듈 파일은 악기를 트랙이라는 도립된 채널로 연주한다. 예를 들어 4가지 악기가 사용된 음악이라면 4트랙을 사용하는 거싱다.
보통 4~8가지 트랙을 사용하며 최대 32트랙을 지원하는 포맷도 있다. 또한 MOD 파일을 연주하는 프로그램을 트랙커라고 하는데, Startrekker, Screamtracker, Fasttr acker, Digitrakker등 다양하며 프로그램마다 고유의 파일 포맷이 존재한다.
MP1 / MP2 / MP3 압축된 오디오 파일이다. 동영상 압축 기술인 MPEG에서 탄생한 MP1,MP2,MP3는 MPEG-1의 오디오 압축을 위한 기술이다. 압축원리는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거나 듣지 않아도 되는 부분을 삭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MP3로 갈수록 압축률이 우수하여 최대 1/12까지 저장할 수 있다. 최근에는 MP3가 많이 사용된다
RA / RAM / RMM / RM 리얼네트워크사의 리얼플레이어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처 파일. 이 파일의 특징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라디오나 TV, 동영상 등을 보고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오디오와 비디오가 분리되어 있었지만 리얼플레이어 G2라는 새로운 재생 프로그램에서는 모든 콘텐츠가 통합되었다. 더욱이 하이파이 사운드와 화면의 밝기, 명암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이퀼라이저 기능 덕분에 인터넷상에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즐길 수 있다.
WRK 케이크워크사의 MIDI시퀸싱 프로그램인 케이크워크의 전용 음악 데이터 파일. WRK는 기본적은 MIDI 데이터 외에 가사. WAV파일의 연동등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시퀀싱 프로그램이란 미디 음원을 이용하여 작곡 및 편곡을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WAV MS사와 IBM사가 만든 사운드 파일. 녹음기로 녹음하듯 아날로그 오디오를 녹음하여 디지털화 한 것이다. 8비트 16비트의 분해능과 초당 얼마만큼 세밀하게 디지털화하는지에 따라 22KHZ,44KHZ로 나뉘고, 스테레오와 모노, 압축도 가능하다. 윈도98의 녹음기로 사운드 카드만 있으면 쉽게 WAV파일을 녹음할 수 있고, 골드웨이브나 쿨에디트로 편집도 가능하다.
MPG /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압축된 동영상 파일 포맷이다. AVI나 MOV에 비해 압축률이 우수하고 화질도 좋아 비디오 CD에 사용된다. 해상는 352X240(NTSC의 경우)에 초당 30프레임의 스크롤로 VHS비디오 활질 정도이다. 비디오 CD에서는 MPG파일의 헤더를 바꾼 DAT파일을 사용한다.
MOV/QT 애플컴퓨터사의 동영상 파일 포맷. 애플은 동영상을 위하여 퀵타임이라는 규격을 만들었다. 윈도에서는 윈도용 퀵타임을 설치해야만 MOV파일을 볼수 있는데, 미디어 플레이어를 설치하면 별도의 퀵타임 없이도 MOV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BMP Bitmap의 약자로 윈도, OS/2 환경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파일. BMP파일은 흑백과 4비트, 8비트, 24비트의 포맷이 있으며, 각각 2색, 16색, 256색, 트루 컬러를 표현한다. 초기 BMP파일은 압축하지 않았으나 윈도 3.0이후부터는 RLE라는 방식으로 압축한다
CDR 그래픽 프로그램인 코렐드로의 데이터 파일. 코렐드로는 벡터 방식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비트맵과는 달리 아무리 확대해도 선이 부드러우며, 각 이미지 조각들은 오브젝트라는 개체로 구성되어 있어 색을 변환하거나 모양을 변경하기 쉽다.
CGM Computer Graphics Metafile의 약자로 2D 이미지 그래픽의 표준 포맷이다. 영국의 BSI나 미국의 ANSI같은 단체에서 1987년부터 표준으로 정해졌으며, 일종의 벡터 방식으로 확대해도 이미지가 깨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CMX Corel Presentation Exchange의 약자로 코렐드로의 벡터 파일을 인터넷으로 볼 수 있게 만든 포맷이다. 간단한 테그로 HTML문서에 첨가할 수 있으며, 정교한 이미지 품질로 프레젠테이션에 적합하다. 코렐사에서는 CMX을 볼 수 있는 CMX Viewer라는 넷스케이프용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다.
CUT 과거 도스 시절 닥터 할로라는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그래픽 파일. 최대 8비트, 256컬러가 한계였으며, 색상 정보를 담고 있는 PAL이란 파일과 함께 사용되었다.
DCX Multiple Page Graphics PCX파일로 기존 PCX파일에 페이지 개념이 추가되어 하나의 그래픽 파일에 여러 페이지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 파일 포맷은 팩시밀리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DRW 마이크로그래픽스사의 디자이너 프로그램용 그래픽 파일. 벡터 방식으로 일러스트에 주로 사용된다.
DXF Drawing Exchange Format의 약자로 오토데스크사의 CAD용 파일 포맷이다
GIF Grahics Interchange Forbat의 약자로 PC통신 서비스 업체인 컴퓨터 서브에서 이미지 자료를 게시하기 위해 만든 파일 포맷이다. 비트맵 방식의 압축 형식으로 8비트 256컬러밖에 지원하지 못한다. GIF파일에는 두 가지 종류라 있다. 87A와 89A 인코딩 방법에 차이가 있다. 89A가 최근 버전으로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하나로 합쳐 마치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를 보여 주는 방식에 따라 Non-Interlaced와 Interlaced방식으로 구분되어 모두 4가지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IFF Amiga Interchange File Format의 약자로 아미가 컴퓨터용 그래픽 파일. 그림뿐 아니라 텍스트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PC에서 저장될 때는 LBM이라는 확장자로 바꿔 저장한다.
IMG / GEM DTP프로그램인 벤추라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JPG / JPEG Joint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이미지 압축 기술자 모임에서 만든 이미지 파일이다. Lossy Compression이라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압축하여 화질의 저하 없이 파일을 압축한다. 최대 1/20까지 이미지를 압축하며, 24비트 컬러의 트루 컬러를 지원하여 인터넷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도 대중적인 파일 포맷이다.
KDC 코닥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촬영 이미지 파일. KDC 파일은 압축 모드와 비압축 모드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JPG와 TIF와 구조가 비슷하다.
LBM 일렉트로닉아트사의 디럭스페인트에 사용되는 그래픽 파일 포맷. IFF와 구조상으로는 동일하지만 PC에 사용하기 위해 확장자를 바꾼다.
PCD Kodak Photo CD의 약자로 포토 CD에 사용되는 그래픽 파일. 포토 CD는 35mm필름을 디지털 파일로 바꿔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게 만든 코닥사의 규격이다. PCD는 24비트의 비트맵 방식으로 다양한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화면 출력이나 인쇄에도 용이하다.
PCT / PICT 1984년 애플컴퓨터사에서 만든 이미지 파일 포맷. 비트맵 방식으로 초기에는 8가지 컬러밖에 지원하지 못했으나 지금은 32비트 컬러를 구현한다
PCX Zsoft사의 PC Paintbrush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그래픽 파일. 개발 시기에 따라 4가지 버전이 있으며, 버전 0에서 1비트밖에 지원하지 않았지만 버전 5에서는 24비트 트루컬러를 사용할 수 있다.
PIC Lotus Picture File의 약자로 벡터 방식의 그래픽 파일이다. 로터스사의 로터스 1-2-3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에서 지원되는 것으로 단순한 파일구조 이다.
PNG Potable Network Graphics의 약자로 핑이라고 발음한다. PNG는 GIF를 대체하기 위한 파일로 인터넷의 GIF그래픽 파일은 저작권 있는 압축 기술로 함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작권이 없는 고유의 압축 기술로 PNG를 개발했다. 파일 구조는 GIF와 동일하여 투명 효과 등 GIF의 장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GIF보다 압축률이 우수하다.
PSD 어도비사의 포토샵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비트맵과 벡터 방식의 혼합형으로 파일 내부에 레이어와 패스, 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어, 이미지를 수정, 편집하기 쉽다. 이 파일은 페인트샵프로에서도 지원된다.
RLE Run-Length Encoding의 약자로 압축된 BMP파일. 주로 윈도의 시작 배경화면이나 바탕화면에 사용된다.
TIF / TIFF Tag Image File Format의 약자로 압축된 형식의 비트맵 이미지 파일이다. TIF는 다양한 압축 방법을 제공한다. 비압축 모드에서 Hufffman,Pack Bits,LZW, Fax Group 3, Fax Group 4의 6가지 모드로 압축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사용된다
WMF Windows Meta File의 약자로 윈도 3.1,95,98의 표준 그래픽 파일이다. 16비트 벡터 방식이지만 비트맵 방식도 포합하고 있다. 참고로 메타 파일이란 이미지의 오브젝트 정보를 목록식이로 저장한 파일이다. 원, 선 ,상자 등의 이미지 구성 요소를 순서와 위치 정보로 저장한다.
WPG Wordperfect Graphic File의 약자로 워드퍼펙트라는 문서편집기에서 사용된 그래픽 파일이다. 원드퍼펙트 5.0부터 사용되었으며, 비트맵, 벡터 방식이 혼합되어 있다. 최대 8비트를 지원하여 256컬러밖에는 사용할 수 없다.
3)시스템 파일(운영체제)
386 / pwl / bak / ani / cfg / reg / src / bin / cab / asx / com / dll / cat / bat / cdf / ini / dat / bat / cur / chk / dde / dos / drv / exe / fon / grp / hlp / ico / idx / inf / cpl / lnk / log / old / pif / pdr / spl / tmp / ttf / vxd
386 윈도에서 사용하는 386확장 모드 드라이버 파일.
pwl 윈도의 네트워크 암호 설정 정보 파일.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로그온 암호를 설정하면 윈도는 사용자 이름과 동일한 파일명에 확장자가 PWL인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로그온 암호 외에도 네트워크 상의 공유 자원을 지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암호도 PWL 파일에서 관여하게 된다.
bak 갱신되기 전의 파일 정보를 담은 백업 파일. 새로 갱신된 파일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bak 파일의 확장자 이름을 원래의 확장자 이름으로 변경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많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용도로 bak확장자를 사용하며, 한글의 문서 백업 파일로도 익숙한 확장자명이다.
ani 움직이는 마우스 커서 파일로 Animation의 뜻을 가지고 있다. 탐색기에서 모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능보다는 액세서리의 용도로 사용된다.
cfg 설정(Configuration) 파일이다.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값을 담고 있다. 주로 도스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된다.
reg 윈도 레지스트레이션 파일(OLE)이다. 레지스트리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이 파일을 실행시켜 레지스트리에 정보를 추가시킬수도 있다.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것 외에 레지스트리를 사용해 윈도의 기본 설정을 변경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들도 이 파일을 사용한다
src Screen Saver의 약자로 윈도의 화면 보호기 파일의 확장자이다.
bin Binary의 약자로 리얼모드 드라이버이다. 주요 bin 파일로는 드라이브 스페이스에 사용되는 dblpace.bin, drvspace.bin 등이 있다.
cab 윈도에서 사용되는 압축 형식의 파일로 캐비닛 파일이라고 부른다. 내부적으로는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윈도 98과 95를 설치할 때 압축이 풀리면서 해제된다. 또한 윈도 디렉토리의 sysbckup폴더에 위치한 시스템 파일 백업도 cab파일 형식으로 압축되어 있다. cab파일은 Extract명령으로 압축을 풀 수 있으며 압축 해제 구문과 해당 옵션은 다음과 같다. extract[/y][/a]파일명(/y:압축 해제 방식 선택,/a:캐비닛 파일내의 모든 파일 압축 해제)
asx 리얼 네트워크의 ram과 같은 개념으로 일반적인 텍스트파일로 되어있고 간단한 태그로 Windows Media Services 또는 HTTP 서버상의 미디어 파일을 연결시켜 주며 미디어 플레이어의 여러가지 정보를 정의한다.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할 파일의 목록과 그 파일의 정보를 담고 있다. 리얼 플레이어의 ram확장자를 쓰는 파일과 같은 기능을 한다.
com 도스에서 사용하던 실행 파일이다. EXE파일보다는 실행 우선 순위에 있다. command의 약자이며, 주요 파일로는 윈도를 실행시키는 win.com을 들 수 있다. win.com의 경우, 보통은 윈도 시스템의 부팅과정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나, 특정 문제로 인한 부팅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옵션도 제공한다. 실행방법과 각 옵션 값은 다음과 같다. win[/d:[f][m][s][v][x]]
f:32비트 디스크 액세스를 사용하지 않는 옵션으로 디스크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사용한다. m:안전 모드로 윈도를 실행시킨다. v:하드디스크 컨트롤러에서 ROM루틴이 인터럽트를 담당한다. 디스크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사용한다. s:윈도가 F000:0000~1MB 사이의 ROM주소를 사용 하지 않도록 지정한다. x:메로리에서 윈도 98이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찾는 검사를 실시할 때 모든 영역을 선택하지 않는다.
dll Dynamic Link Library의 약자로 독자적으로 실행되지는 못하지만 exe 파일을 실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파일이다.
cat 카탈로그 파일. 각 파일의 이름, 설명등과 같은 내용을 목록으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bat 도스의 배치 파일로 텍스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관련 파일의 실행 순서와 옵션을 지정한다. bat는 도스용 파일로 윈도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나, 시스템 부팅시 사용되는 autoexec.bat파일은 예외이다.
cdf Channel Definition Format의 약자로 윈도98의 액티브 채널의 예약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CDF파일은 채널 서버에서 사용자 PC로 복사된 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 찾기와 채널 항목에 추가된다.
ini Initialize의 약자로 윈도 초기화 파일로 불린다. 윈도 95나 98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각종 설정 값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주요 INI파일로는 win.ini와 system.ini, control.ini파일 등이 있다. 이들 파일은 윈도의 기본 구동 설정을 담고 있으며, 에디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사용자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다.
dat 데이터 파일.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주요 DAT파일로는 윈도 98 설치시 95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Winundo.dat, 드라이브스페이스의 정보를 백업하는 drvspace.bat,사용자 정보를 담는 user.dat와 IE userdata.dat등이 있다.
bat 도스의 배치 파일로 텍스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관련 파일의 실행 순서와 옵션을 지정한다. bat는 도스용 파일로 윈도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나, 시스템 부팅시 사용되는 autoexec.bat파일은 예외이다.
cur 마우스 커서 파일로 사용되는 파일 포맷. Windows/cursors폴더에 위치해 있으며, ani파일과 마찬가지로 탐색기에서 커서의 모양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chk 도스의 디스크 검사에서 생성하는 파일. 디스크 검사 중 손상된 파일이 발견되면 해당 부분을 CHK의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 만들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기본적으로 C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dde 동적 데이터 교환을 담당하는 파일. 동적 데이터 교환이란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dos 윈도로 부팅하지 않고 도스 모드로 부팅할 때 사용되는 시작 시스템 파일의 확장자. 윈도로 부팅될 때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도스 모드로 부팅될 때만 io.dos파일은 io.sys로, config.dos는config.sys파일 등으로 확장자가 변경되어 사용된다
drv Driver의 약자로 PC에 설치된 하드웨어의 인식과 구동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파일이다.
exe 실행파일을 뜻하며,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 실행은 EXE확장자를 갖는 파일의 실행으로 이루어진다.
fon 비트맵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윈도 기본 글꼴의 확장자이다.
grp 프로그램 관리자 그룹 파일이란 뜻의 Group의 약자로 프로그램 관리자에 있는 그룹의 설정을 담고 있으며, 윈도 3.1에서 사용된다.
hlp Help의 약자로 윈도와 응용 프로그램 사용에 대한 설명 파일.
ico 윈도의 아이콘 파일
idx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파일. 아웃룩 익스프레스에서 사용하는 확장자로, 보낸 편지함, 받은 편지함 등 각 항목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들어 있다.
inf 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로 Information의 약자이다. 특히 하드웨어의 설치시 해당 하드웨어와 맞는 정보 파일을 선택해야만 필요한 드라이버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하드웨어뿐 아니라 msdet.inf, msbatch.inf와 같이 윈도 설치시 시스템 설정을 사용자에게 정의 해주는 소프트웨어 관련 파일도 존재한다.
cpl Contrl Panel의 약자로, 제어판에 나타나는 설정 항목 파일이며, EXE파일과 같이 실행이 가능하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항목의 파일인 desk.cpl파일은 더블 클릭하면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가 실행된다. 각 제어판의 항목과 해당 CPL파일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desk.cpl 32bit ODBC:odbccp32.cpl 게임 컨트롤러:jot.cpl 국가별 설정:intl.cpl 전원 관리:powercfg.cpl 날짜/시간:timedate.cpl 네트워크:netcpl.cpl 마우스:main.cpl 모뎀:modem.cpl 바탕화면 테마:themes.cpl 전화통신:telephon.cpl 멀티미디어:mmsts.cpl 암호:password.cpl 인터넷:intcpl.cpl 시스템:sysdm.cpl 프로그램 추가 제거:appwiz.cpl
lnk 윈도의 단축 아이콘 확장자이다. 단축 아이콘은 아이콘 하단에 화살 표시로 구별할 수 있으며, 실행 파일 대신 바탕화면이나 시작 버튼에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LNK파일은 연결되어 있는 실행 파일의 위치와 이름, 실행 옵션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log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기록하는 파일로 보통 로그 파일이라 부른다.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에디터 등의 프로그램으로 읽어 작업에 대한 실행 과정과 결과를 알아볼 수 있다.
old 일종의 백업 파일로 Old Version을 뜻한다. 주로 시스템 파일이 갱신된 후에 이전 파일의 정보가 old확장자를 가진 동명의 파일로 저장된다. 삭제해도 무방한 파일이지만 이전 설정으로 돌릴 때 유용하다.
pif 도스용 응용 프로그램 정보 파일. 윈도 상에서 도스용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메모리 등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이다.
pdr 부가 드라이버중 한 가지. 위치는 Windows/system/IOSubsys이다.
spl 빠른 인쇄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스풀 파일. 이 스풀 파일은 데이터 처리에 따른 자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버퍼라 생각하면 된다. SPL파일은 windows/syste,/spool/printers 경로에 위치하며, 인쇄 작업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 하지만 해당 디렉토리에 SPL파일이 남아있는 경우는 비정상적으로 인쇄 작업이 종료되거나 중단된 경우이므로 삭제해도 무방하다.
tmp Temporary의 약자로 일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 임시로 저장하는 파일이다
ttf 트루타입 폰트의 확장자. 벡터 방식을 사용해 글자를 확대해도 깨끗한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
vxd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확장자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관리한다. 일반적인 DRV드라이버에 비해 메모리를 적게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장치가 같은 메모리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VXD가 32비트 보호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다 말해 VXD가 로드될 때는 필요한 메모리 양만큼만 로드되거나 언 로드된다.
ASV 한글의 자동 저장 파일.한글은 일정 시간마다 또는 자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PC에 문제가 생겨서 파일이 망가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ASV파일을 만든다. PC전원이 순간적으로 꺼지거나 시스템이 다운되었을 때 ASV파일을 찾아 로딩하면 마지막에 저장했던 내용을 복원할 수 있다.
CSV Comma-Separated Values File의 약자로 띄어쓰기 대신 콤마로 분리된 텍스트 파일이다. 주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한다. 파일 내부를 보면 띄어쓰기 대신 콤파가 찍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DBF Database File 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dBase에서 사용된다. DBF는 필드와 레코드로 나뉘어져 각 레코드에는 데이터가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검색어에 의해 일괄 검색이 된다.
DOC / DOCX Documentation의 약자로 문서 파일을 의미한다. 워드패드나 ms워드에서 사용되지만 한글 훈민정음 등 대부분의 문서편집기에서 지원된다.
DOT MS워드의 서식 파일. 서식 파일이라 일정한 양식이 있는 문서의 틀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기안 문서나 지출 결의서 등의 문서에서 표나 연도 표시 등 틀을 서식 파일로 만들어 놓으면 다음부터는 서식 안에 내용만 추가하면 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DOT파일은 MS워드에서 파일 열기의 파일 종류에서 서식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GUL 삼성전자에서 개발한 훈민정음 문서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문서 파일이다. GUL파일은 문서뿐 아니라 표, 그림 등 다양한 서식을 적용할 수 있어 그래피컬한 문서 제작에 용이하다.
HAD 한글과 컴퓨터사의 주소록용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HAD는 주소록을 그룹별로 묶고 개인별 데이터를 회사, 개인, 메모 등으로 분류하여 열람하기가 쉽다. 데이터를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메모 기능이 있어 간단한 메모에서 긴 문서까지 저장할 수 있다.
HFT Hangul Font Type의 약자로 한글에서 사용하는 글꼴파일. 일반 윈도용 글꼴 파일과는 구조가 달라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한글글꼴 파일은 HNC폴더 안의 FONT폴더에 들어있으며, 한컴환경설정 이라는 유틸리티로 글꼴을 등록, 삭제 할 수 있다.
HWP 한글용 문서 파일이다. 문서에 표나 서식뿐 아니라 그림. 하이퍼텍스트 등의 다양한 정보를 담을수 있따. 과거 버전에서는 그림 파일이 별도로 저장되었지만 지금은 HWP파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HWT 한글의 서식 파일. 한글에서는 문서마당이라고 표현하다. 문서마당을 사용하려면 파일 메뉴의 문서마당을 실행한 뒤 나타나는 예제 중 하나를 선택한다. HWT의 특징은 보고서에서 편지지, 달력 등 인쇄 가능한 모든 종류의 소식이 제공된다.
KWP 한글에서 저장되는 행정 전산망용 공통 파일이다. 공공기관에서 사용되는 행망용 파일로 하나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다.
MDA MS사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추가 기능 파일이다. 액세스에서는 마법사나 메뉴 추가, 작성기 등의 추가 기능을 사용자가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확장자이다.
MDB MS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파일. 급여 관리나 비디오 수집 등 각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MDZ MS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마법사 파일이다. 주소록이나 음반 관리, 고객 관리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필드 지정에서 폼 형태까지 따라하기만 하면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한다.
PDF Portable Document Format의 약자로 어도비사에서 개발한 문서 파일이다. PDF 파일의 장점은 호환성에 있다. HWP나 GUL등의 문서 파일은 전용 프로그램이 있어야 내용을 볼 수 있지만 PDF는 아크로뱃 리더라는 간단한 유틸리티만으로 내용을 볼 수 있다. 또한 화면에 보이는 그대로 인쇄가 가능하고 글꼴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프린터에서도 똑같이 출력 가능하다. PDF파일은 글 뿐 아니라 그림, 표 등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PM 어도비사의 전문 출판 프로그램인 페이지메이커6.5에서 생성되는 문서파일. 페이지메이커는 문서 편집기 이상의 기능으로 출판, 인쇄에 사용된다. PM파일은 기존의 파일 포맷에 비해 포토CD나 차트 등 더욱 많은 데이터를 불러들일 수 있다.
PCT MD사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인 파워포인트의 서식 파일이다. 자산 보고, 신제품 발표 등 미리 만들어진 주제에 따라 바탕색, 브리핑 구조, 색 마스터 등의 시나리오를 미리 제작해 놓아 빠른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PPT / PPTX MS사의 파워포인트 데이터 파일이다. 파워포인트는 보고 문서를 그래픽과 차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원해 멋진 보고 자료를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만들어진 파일은 영화처럼 순차적으로 보여지며, 화면이나 인쇄물로 만들 수 있다.
PWZ MS사의 파워포인트의 마법사 파일이다. 서식 파일이 보고 양식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에 비해 마법사는 그 방법까지 따라하기로 안내한다. 마법사를 열면 분야별로 서식이 들어있고, 서식을 선택하면 작업 과정을 친절히 안내해 준다.
PTF Rich Text Format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문서 파일이다. 일반 TXT파일과 구조는 흡사하지만 글꼴이나 마진 등 추가적인 기능을 첨가하였다. 이 파일은 한글이나 MS워드 등의 문서 편집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TXT 가장 단순한 형태의 문서 파일.ACSII구조로 되어 있어 메모장이나 MS워드 등 어떤 문서 편집기나 에디터에서도 읽을 수 있다.
WBK MS워드의 백업 파일이다. 문서를 잘못 작성한 후 실수로 저장하면 되돌리지 못하므로 백업 파일로 다시 복구한다. 마치 한글에서 저장하면 BAK라는 백업 파일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MS워드에서는 백업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 옵션의 저장에서 '백업파일 항상 작성'이라는 항목을 체크해야 한다.
WIZ MS워드의 마법사 파일이다. 봉투나 팩스 문서,이름표 등 일련 양식화된 문서를 따라하기 방법으로 만든다. 마법사로 완성된 데이터는 내용만 채운 후 출력하면 된 정도로 사용이 쉽다.
WRI TXT와 같은 문서 파일. 윈도의 워드 패드에 사용되며 TXT파일과는 달리 글꼴의 모양이나 크기,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XLM MS사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엑셀의 매크로 파일. 매크로란 반복되는 작업을 녹음기처럼 기록하여 한번에 명령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가로 셀의 데이터만 순차적으로 수를 더해가는 일을 할 때 한번의 과정을 기억했다가 다음 실행부터는 매크로로 반복 작업하는 것이다. 특히 반복 작업이 많은 스프레드시트에서는 매크로의 역할이 중요하다.
XLS / XLSX 엑셀의 테이터 파일로 워크시트 파일이라고 부른다. 스프레드시트인 엑셀은 장부를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가계부, 계산서, 재고 관리에서 차량 관리, 실적 분석 등의 통계작업도 할 수 있다.
5)인터넷 관련파일
ACE / AD / ARJ / ASP / BTM / CAP / CLASS / DIR / DIZ / HTML / LZH / PAK / RAR / UUE / ZIP / ZOO
ACE 독일에서 개발된 압축 유틸리티인 Wind Ace의 압축 파일 확장자. Wind Ace는 압축률이 높고 다양한 압축 파일 형식을 지원해 최근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만일 여러 개의 파일로 나누어 압축한다면 파일 확장자는 ACE,C00,C01로 이어지며, 이 경우 ACE파일 하나만 선택해 압축을 해제시키면 나머지 파일들도 연이어 압축이 풀어지게 된다.
AD 스크린 세이버인 애프터 다크의 확장자이다
ARJ 압축 유틸리티인 ARJ의 압축 파일 확장자. 멀티압축 기능을 지원해 많은 사용자를 가졌으나, 뒤늦은 윈도용 프로그램의 발표와 불편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최근엔 주춤한 상태이다. 도스용 ARJ의 사용 방법과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ARJ<명력어 designtimesp=8886><압축될 파일 이름 designtimesp=8887><압축할 파일 이름 designtimesp=8888>
A:압축 시작 L:압축된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줌 M:지정된 팔을 압축하고 삭제 T:압축된 파일 테스트 U:압축된 파일에 파일을 추가 V:압축된 파일의 리스트를 표시 X:압축 해제
ASP 액티브 서버 페이지는 웹 페이지에 대한 사양으로 asp라는 확장명을 갖는다. 액티브 서버 페이지는 브라우저가 액티브 서버 페이지를 요청하게 되면 웹 서버는 비주얼 베이식이나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하여 HTML문을 만들고 넘겨주게 된다. CGI프로그래밍에 비해 비주얼 베이식이나 자바 스크립트를 웹 서버 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BTM NIDOS 또는 4DOS에서 사용하는 배치 파일로 도스의 BAT와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확장된 명령이 포함되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BAT는 Batch to Memory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CAP 통신 프로그램인 이야기, 잠들지 않는 시간 등에서 사용하는 갈무리 파일이다. TXT로 확장자를 변경 시켜주면 대부분의 에디터 프로그램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CLASS 홈페이지에서 사용되는 자바 애플릿을 뜻한다. CLASS는 바이너리 코드로 작성되어 있으며, 이 파일을 사용해 홈페이지에 자바를 넣을 수 있다.
DIR 도스용 쉘 프로그램인 Mdir용 디렉토리 정보 파일이다.키를 눌러 디렉토리를 갱신할 때마다 Mdir은 mdirtree.dir파일을 재 작성해 정보를 보관한다.
DIZ 압축파일내의 주석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이며, Distributions In Zip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를 뜻하며, 홈페이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텍스트 파일을 지칭한다. 현재 거의 모든 홈페이지들이 HTML를 사용하여 작성되고 있으며, 전자 문서의 서식을 정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표준 SGML에 부분 정의되어 있다.
LZH 압축 유틸리티인 LHA의 압축 파일 확장자 이름. 드물게 프로그램과 압축 파일의 확장자 이름이 다르다.(LZH는 Lempel Zev Huffman을 줄인말).LHA는 도스용 프로그램이다. LHA<명령어 designtimesp=8961><압축될 파일이름 designtimesp=8962>[DIR][압축할 파일이름]
PAK 유닉스용 압축 파일의 확장자로 Packed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RAR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압축 프로그램 RAR의 압축 파일 확장자. 압축률이 높고 안정적이어서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 멀티 압축이 가능하며, 이 경우 확장자는 RAR,001,002순으로 명명된다.
UUE 인코딩 프로그램인 UUENCODE로 인코딩된 파일 확장자. 파일 포맷 방식은 윈집과 유사하며 UUe의 디코딩 프로그램은 윈집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ZIP 압축 유틸리티인 PKZip의 압축 파일 확장자 이름. PKZip은 빠른 압축, 해제 속도를 가지고 있어 가장 대표적인 압축 유틸리티로 평가받고 있으며, 윈도용으로는 윈집 7.0 SR-1이 최신 버전이다.
발표연도 기반 버전 운영 체제 이름 => 일부러 표나 이미지로 작성 안했습니다. 적당히 보아주셔요 ^^;;
1985년 도스 1.01 윈도 1.0 = MS 최초의 8bit GUI OS
1987년 도스 2.03 윈도 2.0 = 겹치는 창 사용가능(멀티태스킹)
1988년 도스 2.1 윈도 2.1
1988년 도스 2.0 윈도/286 2.0
1988년 도스 2.1 윈도/386 2.1
1990년 도스 3.0 윈도 3.0
1992년 도스 3.1 윈도 3.1 = 트루타입 글꼴적용(Ver. 3.1)
1993년 NT 3.1 윈도 NT 3.1 = 네트워크용 OS. 32bit
1994년 도스 3.2 윈도 3.2 (중국어 간체판만을 지원했던 버전.)
1994년 NT 3.5 윈도 NT 3.5
1995년 9x 4.0 윈도 95 (Chicago) : 운영체제로 분류시작, 인터페이스 직관화
1995년 NT 3.51 윈도 NT 3.51
1996년 NT 4.0 윈도 NT 4.0 : 윈도 95 인터페이스 탑재
1998년 9x 4.1 윈도 98 (Memphis) : IE 탑재
1999년 9x 4.1 윈도 98 SE
2000년 NT 5.0 윈도 2000 (Cairo) : ActiveDirectory 기능 추가
2000년 9x 4.9 윈도 ME (Mellenium) : DOS기반 마지막 버전
2001년 NT 5.1 윈도 XP (Whistler) : 9x기반 탈피
2003년 NT 5.2 윈도 서버 2003 (윈도 .Net)
2003년 NT 5.2 윈도 XP 64 비트 에디션
2005년 NT 5.2 윈도 XP 프로페셔널 x64 에디션
2005년 NT 5.2 윈도 서버 2003 x64 에디션
2007년 NT(*) 6.0 윈도 비스타 (Longhorn)
2008년 NT(*) 6.0 윈도 서버 2008 : 윈도 비스타 기반
2009년 NT(*) 6.1 윈도 7 (Blackcomb / Vienna) : XP에서부터의 업그레이드 불가
2009년 NT(*) 6.1 윈도 서버 2008 R2 : 윈도 7 기반
http://ko.wikipedia.org/wiki/%EB%A7%88%EC%9D%B4%ED%81%AC%EB%A1%9C%EC%86%8C%ED%94%84%ED%8A%B8_%EC%9C%88%EB%8F%84%EC%9D%98_%EC%97%AD%EC%82%AC 보면 다 있는 내용입니다 ㅋ
이 중에 제가 접했다고 기억나는 것은..
윈도 3.1 / 윈도 NT 3.5 / 윈도 95 / 윈도 98 / 윈도 98 SE / 윈도 2000 / 윈도 ME / 윈도 XP / 윈도 서버 2003 / 윈도 비스타 / 윈도 서버 2008 / 윈도 7 / 윈도 서버 2008 R2
네요 ㅎ.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윈도 XP -> 98 SE -> 7 정도 겠구요.
아, 윈도우의 공식 명칭은 Windows 뿐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지정하기는 "윈도"입니다만 영어표기상의 차이와 MS코리아에서의 제품 표기의 차이로 인해서 "윈도우", "윈도우즈" 가 혼용되고 있기는 합니다.
0. 자료 백업 - 내문서 및 바탕화면 - 즐겨찾기나 이메일 저장내용 - 기타 개인이 지정하여 사용하는 내용 => 외장하드, 클라우드 횔용
1. 윈도우 설치 - CMOS 체크 => Default - 부팅순서 및 무의미한 장치 설정 체크 - 파티션 => 가급적 물리적으로 1개일 경우에 분할, 50% 또는 100GB 이하 설정 - 포맷 및 설치 => 기본값 위주 설치 진행 - 컴퓨터이름, 날짜, 해상도 설정 => 영문, 현재, VGA 및 모니터 따른 설정
2. 드라이버 체크 및 설치 - 윈도우 기본 드라이버 체크 => 장치관리자 내용 확인 - 3DP 활용, 랜카드 - 칩셋 - VGA - 사운드 순으로 설치 무난 - 그외 프린터 및 보유 장비 드라이버 설치
3. 윈도우 및 IE업그레이드 - MS 업데이트 진행 => 필요시 정품인증 관련 내용 별도 확인
4. 응용 SW 설치 - 자주 쓰는 프로그램 위주 설치 - 한글 - MS 오피스 - 압축(알집 또는 반디집) - 이미지 툴(알씨와 포토스케이프) - 동영상 플레이어(km플레이어 또는 곰플레이어) - 백신(알약 또는 V3) 순이 무난 - 기타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 => 프리웨어 설치시 번들 또는 옵션의 추가 프로그램은 가급적 설치 제외
5. IE 설정 확인 - 검색설정 => 구글 또는 네이버 등으로 변경 및 설정변경 제한 - 즐겨찾기 및 첫 페이지 설정 => 마법사 또는 즐겨찾기파일 활용
6. 완료내용 백업 - 복원 시점 지정 => 윈도우 및 저장공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작업시 유리
8. 맺으며 컴퓨터를 여럿 정리하고 도우며 엠토리 나름의 순서를 정리했습니다. 누구나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그럼에도 정리하지 않고 진행하다보면 아차 하는 것이 생기더군요, 위내용에서 소프트웨어는 정품 사용이 기본입니다. 특히 개인이 아닌 경우 과도한 벌금을 고려하셔야하고 그리스도인이라면 더더욱 무분별한 크랙 프로그램으로 인한 세상으로의 악한 영향력은 지양하도록 노력해야겠지요. 암튼 위 내용은 지극히 개인적으로 간단히 작성한 것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좀더 상세한 내용을 위 순서에 맞추어 정리는 해보겟습니다.
너무도 오랜만에 엠토리가 함께 참여한 인해선입니다.
벌써 11회째 이루어진 인해선, 여러가지 의미가 있었습니다.
여러가지를 남겼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채로 열심히 사역(^^?)만 하고 와서..
간단하게 끄적여봅니다.
제목 : 기절하듯 잠들다?!
내용 : 이번 인해선에서 엠토리가 담당한 강의 주제는 "블로그? 블로그!"에 대한 것이 었습니다.
이 블로그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기회되면 정리해보겠습니다.
암튼 보통 인해선을 가면 엠토리가 하는 메인잡은 세가지 입니다.
- 강의장 네트워크 및 컴퓨터 세팅 => 선발대일 경우엔 필수고, 아니라도 수시로.
- 강의를 맡게 된 내용에 다른 강의 진행 => 주로 윈도우 기본적인 내용이나 이번에는 블로그
- 선교사님의 컴퓨터 점검 => 점검 및 수리, 업그레이드, 부품 교체, 윈도우 설치 등
이번에도 여전히 그 일을 감당하는데요.
이 몽공 울란바토르란 곳이 컴퓨터 사양에 비해 고급(?) 바이러스들이 돌아다녀서 인지 이런저런 첫번재와 세번째 사역의 양이 기존에 다녀왔던 곳보다 더 많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이틀밤을 거의 안자고 지새웠지요.. 식사하고 수리하고 강의하고 식사하고 수리하고 강의하고 식사하고 수리하는 일과
그렇게 일정을 마치고 이제 강의장을 떠나 사역지로 땅밟기를 위해 떠나는 날 아침이 되었는데,
그만 제가 일어나지를 못했답니다 ^^;
더구나 방문이 고장이 나서 밖에서는 안으로 들어오지도 못하고,
밖에서 한시간 가까이 두드리고 소리쳐도 엠토리는 듣지도 못한채로 기절하듯 잠들어 버린 것이지요.
8시 전에는 버스가 출발해야 하는데 시간은 다되어가도 일어나지 못하다가 가까스로 15분전에 눈을 뜬 엠토리.. ^^;
얼마나 당황스러운지 ㅋ 짐도 쌓아야하고 씻기도 해야하고 아침도 못먹고 부랴부랴..
이런일을 겪었던 2009년 11회 인터넷 해외 선교가 벌써 1년이 다 되어 가네요 ㅎ
오늘은 여기까지만 끄적이겠습니다
인해선에 대한 엠토리의 이야기는 간략하게나마 계속 됩니다~~ 항상 주안에서 행복.하시길~^^
주제강의 – 김태훈 목사
서른 초반에 담임 목회자로 부름을 받고, 목회에 힘을 쏟으면서도 미디어와 각종 매체를 통한 복음, 교육 사역에 열심과 열정을 가지고 총회(예장 합동) 교육위원으로 활약하며, 교사 대학과 강습회의 열혈 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봄미디어 대표로서 총회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를 개발하고 제작하고 있으며, 면목동에 자리한 ‘한주교회’ 담임 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기획, 연출 영역– 지영균 감독
중앙대학교에서 영화영상제작을 전공하고 낮은 울타리, 팻머스 문화선교회에서 영상 매거진 ‘엔진’을 제작했다. 단편영화 ‘기도’, ‘코이노니아’ 등으로 수상한 경력이 있으며, 최근에는 마태복음에 등장하는 천국비유를 모티브로 한 HD 장편 ‘보면 미친다’의 제작을 마쳤다.
영상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꿈꾸는 지영균 감독은 제작현장이 늘 즐거운 사람이다.
현재는 JU Film 대표로 있다.
이야기구성, 작가 영역 – 전은주 작가 인기 블로그 꽃님이네 blog.naver.com/mollafasa 주인장, 이화여대 정외과를 하고 EBS TV '문단열의 잉글리쉬 카페', SBS FM '하하 몽의 영스트리트', MBC FM '이소라의 디스크쇼' 에서 일했다. 2002년부터 글을 올리기 시작한 '꽃님이네' 블로그는 생생한 육아 일기, 손쉬운 놀이법, 그림책 서평, 유용한 육아 정보로 많은 블로거들의 아낌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2009년. 엄마는 편하고 아이는 즐거운 ‘초간단 생활놀이 150’(즐거운 상상 刊)을 써서 대중의 인기를 얻은 작가가 되었다.
촬영 영역 – 문홍철 간사 낮은 울타리에서 영상사역을 시작하여 각종 영상제작 캠프와 학교, 단체 등에서 영상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강의를 하고 있다. 미디어를 가르치고 미디어로 가르치는 미디어 교육이 공교육에 도입되기를 기도하며 준비하는 사역자다.
고신대학교 컴퓨터 영상학과 에서 ‘영상 연출’을 가르치고 있으며, JCmedia 간사로, (사)미디어 영상교육 진흥센터 강사로 일하며, 쌍문동에 있는 희락교회에서 강도사로 사역하고 있다.
편집 영역 – 김남헌 PD 지식 경제부 ’중앙 공무원 교육원’에서 촬영편집 담당교수로 활약하기도 한 김남헌 PD는 낮은 울타리와 팻머스 문화선교회에서 영상매거진 ‘엔진’제작에 참여 하였다. 이 후에 JSMEDIA에서 기업홍보물과 프로모션 영상을 제작하고, 프랭클린&파트너스에서 영어 교육과 관련한 건텐츠들을 제작하였다. 영상에 대한 탁월한 제작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얼마 전 SBS 아카데미에서 애프터 이펙트 모션 그래픽과정을 새롭게 공부하기도 하는 열심 사역자이기도하다.
현재는 서울은현교회 문화사역부 미디어팀 실장으로, 프리랜서 영상사역자로 일하고 있다.